핵심요약 프랑스·스페인·이탈리아 등 노동자·어린이 희생 레오 14세 교황 "가난한 이들이 먼저 고통" 연합뉴스 유럽 전역에서 기록적인 폭염으로 사망자가 속출하는 가운데, 레오 14세 교황이 인간의 탐욕으로 지구가 황폐해지고 있다며 기후위기 해결을 위한 행동을 촉구했다. 프랑스 일간 르몽드, 르피가로 등에 따르면 프랑스에서는 최근 폭염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이는 사망자가 총 3명으로 파악됐다.낮 기온이 최고 40도를 넘나든 1일(현지시간) 브장송에서는 50대 노숙자가 숨진 채 발견됐다. 경찰은 "외상이나 타박상의 흔적이 전혀 없었다"며 폭염 탓에 사망한 것으로 추정했다. 같은 도시에서 35세 토목 근로자도 전날 업무 중 더위를 호소하다가 퇴근길에 쓰러져 사망했다.파리 근교 베르사유궁 정원에서는 미국인 10대 관광객이 1일 심정지로 쓰러져 목숨을 잃었다. 사망자는 평소 심장 질환을 앓지는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일간 르파리지앵은 현장에서 수집된 초기 정보를 토대로 이날 오후 기록된 높은 기온이 사망사고의 원인일 수 있다고 전했다.아녜스 파니에 뤼나셰르 프랑스 환경 장관은 2일 "1일에만 300명 이상이 응급 구조대의 치료를 받았고 열로 인한 급성 이상 증세로 2명이 사망했다"고 밝혔다. 측근들은 장관의 발언이 공식적인 정부 발표가 아닌 언론 보도를 인용한 것이라고 설명했다.스페인에서도 안타까운 사고가 이어졌다. 1일 카탈루냐주에서는 2세 아동이 아버지의 부주의로 뜨거운 차량 안에 방치돼 숨졌고, 같은 지역에서는 산불로 2명이 사망했다고 영국 일간 가디언은 전했다. 지난달 말에도 코르도바와 바르셀로나에서 각각 노동자와 공무원이 열사병으로 숨졌는데 이들의 사인도 열사병으로 추정된다.이탈리아에서는 지난달 30일 에밀리아로마냐 지역의 건설 현장에서 47세 노동자가 쓰러져 사망했고, 이튿날에도 또다른 건축 현장에서 노동자 2명이 실신해 그중 1명은 의식 불명 상태에 빠졌다.기후 변화의 경제적 여파도 우려된다. 알리안츠 리서치는 올해 폭염으로 유럽 경제 성장률이 0.5%포인트 감소하고, 전 세계적으로 0.6%포인트 낮아질[KBS 제주] [앵커]KBS는 최근 청정 제주에서 벌어진 역대 최대 규모의 '불법 폐기물 매립 사건'을 전해드렸는데요.취재 과정에서 또 다른 대규모 산림 훼손 사건이 확인됐습니다.현장K, 문준영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리포트]서귀포시 대정읍의 한 임야.3,500제곱미터에 달하는 초록빛 수풀이 온데간데없이 사라지고, 암반만 벌거숭이처럼 드러나 있습니다.얼마나 파냈는지 훼손된 높이만 10m에 달합니다.중장비를 동원해 임야를 마구 파헤친 건데 땅이 마치 절벽처럼 변했습니다.과거 항공 사진과 비교해 보면 차이가 확연히 드러납니다.며칠 뒤 다시 현장을 찾았습니다.덤프트럭이 돌과 흙을 쉴 새 없이 나르며 이 일대를 급히 메꾸고 있습니다.취재진이 다가가자 굴착기 기사가 자리를 뜨고, 몇 분 뒤 관계자가 나타납니다.[현장 관계자/음성변조 : "여기 옆에 폐석을 여기다가 매립해 달라고 해서. (매립을 왜 하는 거예요?) 여기 뭐 건축허가 창고인가 받았다고 하던데. 원래 여기가 다 이렇게 파여 있었어요."]KBS 취재 결과 이곳은 2021년 농업 관련 창고를 짓겠다며 건축허가를 받은 곳.그런데 실제로는 창고를 짓지 않고, 토석을 채취해 판매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불법 사실이 알려지자 급하게 현장을 메우던 것으로 보입니다.누구의 소행일까.해당 임야의 등기를 확인했더니 놀라운 사실이 드러났습니다.최근 KBS가 단독 보도한 역대 최대 규모 '불법 폐기물 매립' 사건의 핵심 인물 A 씨가 땅 주인이었던 겁니다.A 씨는 KBS와의 통화에서 토석을 채취해 판매한 사실을 인정했습니다.토석은 불법 폐기물을 배출한 석재 가공 공장 등에 넘어간 것으로 확인됐습니다.[고한나/제주자치경찰단 수사관 : "토석을 채취해서 석재 가공 공장 등에 판매한 것으로 확인돼 부정한 방법에 의한 산지전용 허가 혐의로 수사를 확대 진행하고 있습니다."]제주에서 토석 채취 허가를 받으려면 상당한 자본금이 필요하고 규정이 까다롭기 때문에, 창고용으로 건축허가를 받은 뒤 범행을 저지른 것으로 추정됩니다.제주자치경찰단은 폐기물 매립과 함께 불법 토석 채취로 얻은 경제적 이익과 규모 등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