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를 그린(Green), 내일을 클린(Clean)' 아침미소목장 방문 제주 서부종합사회복지관(관장 문은정)은 2025년 사랑의열매 기획사업 '제주를 그린(Green), 내일을 클린(Clean)'의 일환으로 운영 중인 '초록키움터' 프로그램을 통해, 참여자들과 함께 자연 생태 감수성을 높이기 위한 '그린투어'를 진행하였다.'그린투어'는 지역 주민들이 실제 자연환경을 직접 체험하며 생태적 가치를 몸소 느껴보는 활동으로, 환경에 대한 감수성을 높이는 것은 물론, 단순한 견학을 넘어 환경교육의 내용을 현장에서 직접 적용하고 공감할 수 있도록 기획된 프로그램이다. 6월 21일에는 제주시 첨단동길의 '아침미소목장'을 방문하였다. 참여자들은 소에게 직접 사료와 우유를 주는 체험을 통해 동물의 생태와 돌봄의 의미를 몸소 느끼는 시간을 가졌다. 살아 있는 생명과 마주하며 자연과 더불어 살아가는 존재로서의 책임감을 되새기는 계기가 되었고, 특히 참여자의 자발적인 버스킹 공연이 더해지며 현장의 분위기를 따뜻하게 만들었다. <제주를 그린(Green), 내일을 클린(Clean) 스누피가든 방문 단체사진> 6월 28일에는 제주시 구좌읍에 위치한 '스누피가든'을 방문하였다.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테마 정원 곳곳을 천천히 걸으며 계절 식물과 다양한 조형물이 어우러진 조경을 감상하는 시간을 가졌다. 정돈된 산책길을 따라 걷는 동안 참여자들은 시각적 즐거움은 물론, 자연의 흐름과 쉼을 오롯이 느끼며 일상에서 벗어난 여유를 경험했다. 실내외 공간이 자연스럽게 연결된 전시관은 감성적인 휴식과 더불어 생태 감수성을 일깨우는 데 의미 있는 장소가 되었다.서부종합사회복지관 문은정 관장은 "초록키움터 그린투어는 단순한 견학을 넘어, 자연과 생명에 대한 감수성을 일상 속 실천으로 이어가도록 돕는 소중한 계기"라며 "앞으로도 주민이 주체가 되는 환경교육을 통해 지속가능한 삶을 함께 만들어가겠다"고 전했다.한 참여자는 "처음에는 단순한 체험일 거라 생각했는데, 송아지에게 우유를 주는 순간 작은 생명을 직접 마주한 느낌이 들었다"며 "그 순간부터 환경을 대하는 마음도 조금은 달라졌던 것 같다"고 소감을 전했다. 또 다른 참여자는 "스누피가든을 천천히 걷는 동안 아무 말도 없이 마음이 차분해졌고, 자연 속에서 잠시 지난 26일 서울 종로구 창성동 정부서울청사 국정기획위원회 앞에서 전국 197개 환경단체 활동가와 전문가들이 ‘4대강 재자연화’ 등의 정책을 국정 과제로 채택하라고 요구하고 있다. 환경운동연합 제공 환경운동 단체들이 이재명 정부의 국정기획위원회(국정기획위)에 4대강 재자연화, 14개 기후대응댐 사업 취소, 4대 하굿둑 개방 등 ‘통합적 물 관리’ 정책을 요구하고 나섰다. 모두 우리나라 물 정책에서 핵심적이고 해묵은 과제들로, 도중에 흐지부지되지 않도록 집권 초기부터 정부가 강력한 실행 의지를 보이라 촉구하는 모양새다.지난 26일 서울 종로구 창성동 정부서울청사 별관 국정기획위 앞에선 197개 환경 단체, 1152명의 활동가가 서명에 참여한 ‘우리 강 자연성 회복을 위한 범국민선언’이 열렸다. 이들은 위원회 앞에서 선언문을 발표한 뒤 홍창남 국정기획위 사회2분과장에게 정책 제안서를 전달했다. 이 제안서엔 △국정 과제에 4대강 자연성 회복 포함 △‘우리 강 자연성 회복 추진본부’ 설립 △세종보 등 금강·영산강 보 처리 방안과 재자연화 신속 이행 △낙동강 녹조 개선을 위한 보 개방과 취·양수 시설 개선 △한강·낙동강 보 처리 방안 마련과 재자연화 추진 △기후대응댐과 준설 등 기후위기 역행 정책 백지화 △하굿둑 개방을 통한 생태계 회복 추진 △대통령실 기후·환경 수석비서관 신설 △물 정책과 국가물관리위원회 정상화 등이 포함됐다.앞서 23일엔 같은 곳에서 환경단체들의 연대단체인 ‘보 철거를 위한 금강·낙동강·영산강 시민행동’이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들은 이재명 정부에 “4대강 보 개방과 재자연화 추진을 국정 과제로 채택하라”고 요구했다. 이들은 “세종보가 개방된 뒤 금강의 자연 생태계가 뚜렷이 회복됐다. 이제 4대강 16개 보를 모두 열고, 정부 차원의 강력한 실행계획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환경단체들의 요구에 따라 국정기획위는 조만간 환경단체들의 구체적 요구 사항을 듣는 자리를 마련하겠다고 환경단체들에 약속했다.환경단체들이 이재명 정부 초기에 이렇게 대규모로 집단 행동에 나선 이유는 무엇보다 지난 문재인, 윤석열 정부에서 물 정책의 퇴행이 뼈아프기 때문이다.